루르드의 성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르드의 성모는 1858년 프랑스 루르드에서 베르나데트 수비루에게 성모 마리아가 발현한 사건을 의미한다. 이 발현은 총 18차례에 걸쳐 일어났으며, 베르나데트는 흰 옷을 입고 파란 허리띠를 두른 여인을 "작은 숙녀"로 묘사했다. 발현 중 성모는 베르나데트에게 흙탕물을 마시고 씻으라고 지시했고, 그 결과 깨끗한 샘물이 솟아났으며, 이 샘물은 기적적인 치유로 알려지게 되었다. 루르드는 이후 세계적인 성모 신심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매년 수백만 명의 순례자들이 방문하는 순례지가 되었다. 루르드의 성모 발현은 가톨릭 교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으며, 베르나데트는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8년 프랑스 - 천국과 지옥 (오페라)
자크 오펜바흐가 작곡한 오페레타 천국과 지옥은 그리스 신화 오르페우스 이야기를 풍자적으로 재해석하여 1858년 파리에서 초연되었고 캉캉 춤곡으로 유명하며 여러 차례 개정되어 전 세계적으로 공연되고 있다. -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회 - 파리 외방전교회
파리 외방전교회는 1658년 프랑스에서 극동 지역 선교를 위해 설립된 가톨릭 선교 단체로, 한국 천주교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선교 활동을 펼쳐왔다. -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교회 - 로의 성모
로의 성모는 1664년 프랑스 로 계곡에서 브누아트 랑퀴렐에게 성모 마리아가 발현하여 죄인들의 회개와 성당 재건 등을 지시한 사건을 의미하며, 2008년 가톨릭 교회에서 공인되었다.
루르드의 성모 | |
---|---|
루르드 성모 발현 | |
![]() | |
위치 | 프랑스 루르드 |
날짜 | 1858년 2월 11일 ~ 1858년 7월 16일 |
발현 횟수 | 18회 |
목격자 | 성녀 마리베르나르드 수비루 |
인정 | 1862년 교황청 인가 |
주요 내용 | 죄인들의 회개를 촉구, 묵주기도 강조 |
주요 인물 | |
발현자 | 성모 마리아 |
목격 증인 | 성녀 마리베르나르드 수비루 |
당시 교구장 | 베르트랑-세베르 마스카루 로랑스 |
관련 장소 | |
마사비엘 동굴 | 성모 발현 장소 |
루르드 성모 성당 | 마사비엘 동굴 위에 세워진 성당 |
루르드의 샘 | 성모 발현 중 지시로 발견된 샘 |
주요 사건 | |
첫 번째 발현 | 1858년 2월 11일 |
마지막 발현 | 1858년 7월 16일 |
샘 발견 | 1858년 2월 25일 |
성모 발현 인정 | 1862년 |
관련 정보 | |
축일 | 2월 11일 (세계 병자의 날) |
루르드의 기적 | 치유 기적 다수 보고 |
루르드 순례 | 연간 수백만 명 방문 |
기타 | |
관련 항목 | 루르드 루르드의 성모 베르나데트 수비루 가톨릭 성지 기적 |
2. 역사
1858년 2월 11일부터 7월 16일까지,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마사비엘 동굴 근처에서 총 18번에 걸쳐 성모 마리아의 발현을 목격했다. 베르나데트는 땔나무를 구하러 갔다가 묵주 기도를 하는 아름다운 여인을 보았는데, 이 여인은 자신을 "원죄 없는 잉태"라고 밝혔다. 여인이 가리킨 흙탕물에서 솟아난 샘물은 기적적인 치유로 유명해졌다.
프랑스 정부는 처음에 동굴을 폐쇄했으나, 나폴레옹 3세 황제의 개입으로 다시 개장되었다. 교회는 조사위원회를 통해 성모 발현을 공식 인정했다.
오늘날 루르드는 파티마와 더불어 세계적인 성모 공경의 중심지이며, 수많은 순례자들이 방문하고 있다. 베네딕토 15세, 비오 11세, 요한 23세, 비오 12세, 요한 바오로 2세, 베네딕토 16세 등 여러 교황들도 루르드를 방문하여 미사를 집전하는 등 루르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2. 1. 성모 마리아의 발현
1858년 2월 11일,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땔나무 등을 구하러 나갔다가 마사비엘 동굴 근처에서 "작은 숙녀(uo petito damizelo)"라고 부른 여인을 만났다.[2] 이 여인은 흰옷에 파란색 허리띠를 두르고 묵주를 든 모습이었고, 발아래에는 노란 장미가 있었다. 베르나데트는 묵주 기도를 바쳤고, 기도가 끝나자 여인은 사라졌다.베르나데트는 이 일을 비밀로 하려 했으나, 부모님에게 알려져 벌을 받았다. 하지만 다시 동굴을 찾았고, 여인에게서 2주 동안 매일 오라는 말을 들었다. 여인은 이 세상의 행복은 약속 못하지만 다음 세상의 행복은 약속한다고 말했다.[3]
2월 25일, 여인은 흙탕물을 가리키며 마시고 씻으라고 했고, 베르나데트가 따르자 깨끗한 샘물이 솟아났다. 이 샘물은 기적적인 치유로 유명해졌다. 3월 25일, 이름을 묻자 여인은 "나는 원죄 없는 잉태이다."라고 답했다.[12] 4월 7일에는 촛불에 손을 댔지만 화상을 입지 않았다. 7월 16일, 마지막으로 여인을 보았다.
이후 교회는 조사위원회를 발족, 1860년 1월 18일 성모 마리아가 베르나데트에게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2. 1. 1. 발현의 주요 내용
1858년 2월 11일,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땔나무 등을 채집하러 나갔다가 마사비엘 동굴 근처에서 폭풍우 같은 바람 소리와 함께 빛을 내는 여인을 목격했다. 여인은 하얀 드레스와 하늘색 허리띠를 두르고 묵주를 든 모습이었다. 베르나데트는 묵주 기도를 바쳤고, 여인은 사라졌다.[2]이후 베르나데트는 동굴을 다시 찾았고, 여인에게서 2주 동안 매일 동굴에 오라는 말을 듣는다. 여인은 베르나데트에게 이 세상의 행복은 약속하지 못하지만 다음 세상의 행복은 약속한다고 말했다.[3]
2월 25일, 여인은 베르나데트에게 흙탕물을 가리키며 마시고 씻으라고 지시했고, 베르나데트가 그대로 하자 깨끗한 샘물이 솟아났다. 이 샘물은 기적적인 치유 효과로 유명해졌다.[8]
3월 25일, 베르나데트는 여인에게 이름을 물었고, 여인은 "나는 원죄 없는 잉태이다."라고 답했다.[12]
4월 7일, 베르나데트는 촛불에 손을 뻗었으나 화상을 입지 않았다.
7월 16일, 베르나데트는 마지막으로 동굴을 찾아 여인을 보았다.
교회는 조사위원회를 발족했고, 1860년 1월 18일 지역 교구장은 성모 마리아가 베르나데트 수비루에게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횟수 | 날짜 | 주요 내용 |
---|---|---|
1 | 2월 11일 | 첫 출현 |
2 | 2월 14일 | |
3 | 2월 18일 | 15일 동안 매일 오라는 요청을 받음 |
4 | 2월 19일 | |
5 | 2월 20일 | |
6 | 2월 21일 | |
7 | 2월 23일 | (전날은 출현하지 않았다) |
8 | 2월 24일 | |
9 | 2월 25일 | 샘의 용출 |
10 | 2월 27일 | (전날은 출현하지 않았다) |
11 | 2월 28일 | |
12 | 3월 1일 | |
13 | 3월 2일 | |
14 | 3월 3일 | |
15 | 3월 4일 | |
16 | 3월 25일 | 성모의 이름을("무염시태") 알려줌 |
17 | 4월 7일 | |
18 | 7월 16일 | 마지막 출현 |
2. 1. 2. 발현에 대한 반응
베르나데트 수비루가 성모 마리아의 발현을 목격했다는 소식은 교회 관계자들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로부터 의심을 받았다. 베르나데트가 "그분"이 이곳에 성당을 지어주기를 바란다고 전하자, 신부는 그 여성의 이름을 물어오라고 명령했다. 여러 번 이름을 묻는 베르나데트에게, 마침내 "그분"은 루르드 방언으로 자신이 "원죄 없는 잉태"임을 알려주었다. 그것은 “Que soy era Immaculada Councepciou.”[12]라는 말이었다.이로써 처음에는 회의적이었던 페이라마르 신부와 주변 사람들도 성모 발현을 믿게 되었다. "원죄 없는 잉태"가 가톨릭 교회 교리로 인정된 것은 성모 발현 4년 전인 1854년이었다. 가난해서 학교에 다닐 수 없었고, 당시 교회 용어였던 라틴어는 물론 표준 프랑스어의 읽고 쓰기도 할 줄 몰랐던 소녀가 알 수 없는 말이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프랑스 정부는 동굴을 울타리로 막고 출입 금지 구역으로 지정하기도 하였으나, 나폴레옹 3세 황제의 개입으로 1858년 10월 4일에 다시 일반에 개장되었다.
1858년 11월 17일, 교회는 루르드에 대한 조사위원회를 발족하기로 하였다. 1860년 1월 18일, 지역 교구장은 “성모 마리아께서는 참으로 베르나데트 수비루에게 나타나셨다.”라고 발표하였다.
2. 1. 3. 발현 이후
프랑스 정부는 군중이 늘어나자 동굴을 울타리로 막고 출입 금지 구역으로 지정했지만, 나폴레옹 3세 황제의 개입으로 1858년 10월 4일에 다시 개장되었다.[13]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18번째 발현(1858년 7월 16일) 이후 더 이상 발현을 경험하지 않았고, 그 후 동굴을 방문하고 싶은 마음도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사람들은 계속해서 방문했다. 1866년, 수비루는 수녀회에 들어가기 위해 루르드를 떠났다.오늘날 루르드는 파티마와 더불어 성모 공경의 근거지로서, 매년 세계 각국에서 400만-600만 명의 순례자가 찾아오는 장소가 되었다. 베네딕토 15세, 비오 11세, 요한 23세는 주교 시절에, 비오 12세는 교황 사절 때 루르드를 찾았다. 비오 12세는 루르드의 성모 발현 100주년을 기념해 회칙 《루르드의 성지 순례》(Le Pelerinage de Lourdes)를 발표하였다. 요한 바오로 2세는 루르드를 총 세 번 방문하였고, 베네딕토 16세는 2008년 9월 15일 루르드의 성모 발현 150주년을 맞아 루르드를 찾아 미사를 거행하였다.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1933년에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의 축일은 4월 16일이며, 프랑스와 캐나다에서는 2월 18일에 기념한다.[14] 루르드 성모 발현 축일은 2월 11일에 기념한다.[15]
일본에서는 파리 외방전교회(パリ外国宣教会)의 사제들에 의해 루르드의 신앙이 소개되었다. 1879년(메이지 12년)에는 히로사키시(弘前市)에 사는 신야 유조(新谷雄三) 소년이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하여 병에서 회복된 후 사제가 되었다. 1899년(메이지 32년)에는 나가사키현(長崎県) 미나미마츠우라군(南松浦郡) 타마노우라정(玉之浦町)(현 고토시(五島市))의 이모치우라(井持浦) 교회 부지 내에 일본 최대 규모의 루르드 동굴이 만들어졌다.
3. 루르드의 샘
1858년 2월 25일, 베르나데트 수비루는 루르드의 성모가 나타나 샘물이 솟아났다고 증언했다. 이후 루르드 샘물은 '기적의 샘물'로 불리며,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 매년 500만 명의 순례자들이 이곳을 방문하여 샘물을 마시고 몸을 씻으며, 루르드 당국은 이 샘물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연간 1만m3의 샘물이 소비된다.[20]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2008년 9월 12일 루르드를 방문하여 마사비엘 동굴에서 루르드 샘물을 마셨다.[20]
베르나데트는 성모 마리아의 지시에 따라 땅을 파서 샘물을 발견했다. "성모 마리아께서는 샘에서 물을 마시고 몸을 씻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샘이 보이지 않아 가브에서 물을 마셨습니다. 그러자 성모 마리아께서는 그곳이 아니라고 말씀하시며 바위 아래로 가라고 손가락으로 가리키셨습니다."라고 증언했다.[8] 처음에는 진흙 웅덩이에 불과했지만, 다음 날부터 샘물이 솟아나기 시작했다.[8]
1858년 6월 8일, 루르드 시장은 동굴에 바리케이드를 설치하고 경비병을 배치하여 일반인의 접근을 막았다. 방문객들은 동굴 근처에서 무릎을 꿇거나 동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 벌금을 부과받았다.[13]
3. 1. 샘의 성분과 치유
베르나데트 수비루가 루르드의 성모 발현을 목격한 이후, 루르드 샘물은 다양한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858년 루르드 시장의 의뢰로 툴루즈의 한 교수가 샘물 성분을 분석한 결과, 산소, 질소, 탄산 석회, 마그네시아, 탄산철, 알칼리성 탄산염, 규산염, 칼륨과 나트륨의 염화물, 황산염, 암모니아, 아이오딘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20]1858년 이후 루르드에서는 7천여 건의 치유 사례가 보고되었으나,[20] 가톨릭 교회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기적은 2020년 2월 11일 기준 70건에 불과하다. 가톨릭 교회는 매우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여 기적을 심사하는데,[20] "의학적으로 치료 불가능한 난치병일 것, 치료 없이 갑자기 완전히 치유될 것, 재발하지 않을 것, 의학으로 설명이 불가능할 것" 등의 조건과 더불어 환자의 신앙심 또한 중요한 요건으로 고려한다.[20]
루르드 의무국은 1882년 설립되어 전 세계 의사들에게 개방되어 있으며, 기적 치유 사례를 조사하고 완치 확인서를 발급하지만, '기적'이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정신 질환이 아닌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기질적 질병의 치유 사례만을 조사한다.[20]
루르드의 샘물과 관련된 초기 치유 사례 중 하나는 카트린 라타피의 경우이다. 그녀는 사고로 척골 신경이 마비되어 팔을 움직일 수 없었으나, 샘물에 팔을 씻은 후 회복되었다고 보고했다.[20]
3. 2. 루르드 의무국
1882년에 설립된 루르드 의무국은 전 세계 모든 의사에게 개방되어 있으며, 의사들은 기적으로 병이 나은 사람들을 조사하거나 의무국 내 문서를 살펴볼 수 있다.[20]루르드 의무국에서는 이전에 불치병 판정을 받은 이들이 치유된 사례를 조사하고 완치 확인서를 발급하지만, '기적'이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20] 또한 정신적 원인일 가능성이 있는 질병이 아닌,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고 의학적으로 입증된 기질적 질병의 치유 사례만을 제한적으로 조사한다.[20]
기적 치유로 인정받으려면 매우 심각하고 치료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질병이어야 하고, 회복 단계가 아니어야 하며, 효과적인 약물을 사용하지 않았어야 한다.[20] 또한 치유는 즉각적이고 완전하며 영구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20]
4. 성모 순례지
프랑스의 루르드는 성모 마리아가 발현한 성지로, 파티마와 함께 세계적인 성모 신심의 중심지이다. 매년 수백만 명의 순례자들이 이곳을 방문한다.
1858년 10월 나폴레옹 3세의 명령에 따라 동굴이 대중에게 재개방되었다. 베르나데트는 18번째 발현(1858년 7월 16일) 이후 더 이상 발현을 경험하지 않았고, 그 후 동굴을 방문하고 싶은 마음도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사람들은 계속해서 방문했다. 1866년, 베르나데트는 수녀회에 들어가기 위해 루르드를 떠났다. 베르나데트는 1933년 가톨릭교회에 의해 시성되었다. 그의 축일은 4월 16일이며, 프랑스와 캐나다에서는 2월 18일에 기념한다.[14] 루르드의 성모 발현 축일은 2월 11일에 기념한다.[15]
1925년 베르나데트가 시복되었고, 1933년 12월 8일 비오 11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그 후 베르나데트가 발견한 샘물에 의해 불치병이 치유되는 기적이 잇따라 일어났고, 철도 등 교통로 정비와 맞물려 루르드는 가톨릭 최대 순례지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파리 외방 전교회 사제들에 의해 루르드 신앙이 소개되었다. 1879년(메이지 12년) 악성 종양으로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은 신야 유조(新谷雄三) 소년이 마랭(マレン) 신부로부터 루르드의 기적 이야기를 듣고 세례를 받고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하여 병이 회복되었다. 그 후 이 소년은 나가사키(長崎)의 신학교에서 공부하여 사제가 되었다.
1895년 고토 열도(五島列島) 사목 책임자인 페루(ペルー) 신부의 호소에 따라 나가사키현(長崎県) 미나미마츠우라군(南松浦郡) 타마노우라정(玉之浦町)(현 고토시(五島市))의 이모치우라(井持浦) 교회 부지 내에 신자들이 돌을 쌓아 올려 1899년 루르드 동굴을 만들었다. 이것은 일본 최대 규모의 루르드 동굴이다.
이를 시초로 일본 전국의 가톨릭 교회에 루르드 동굴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1921년 뉘베르(ヌヴェール) 자애(愛徳) 여자 수도회에서 일본에 와서 오사카시(大阪市) 타마즈쿠리(玉造)에 성모여학원(聖母女学院)을 개교했다. 교육으로 시작된 자애 수도회의 사업은 그 후 의료·복지 분야까지 확대되었다.[16]
4. 1. 순례지 시설
프랑스 루르드 마을에서 성모 마리아가 발현한 성지(동굴) 부근 지역을 루르드의 성모 순례지라고 부른다. 이 지역은 교회 측에서 직접 관리하고 있으며, 병을 앓는 순례자들과 그들을 거드는 봉사자들을 위해 마련한 진료실과 숙박시설을 운영하는 등 헌신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성지는 동굴을 포함해서 동굴과 연결한 근처 수도꼭지를 통해 사람들에게 루르드 샘물을 나누어주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루르드 의무국을 포함해 성모 마리아가 발현한 동굴 위에 대성당과 2채의 부속 성당을 세웠다. 루르드의 세 성당은 51ha에 달하는 땅을 차지하고 있으며, 스물두 개의 분리된 전례 공간을 갖고 있다. 순례지에서는 공식적으로 프랑스어, 영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등 총 6개국의 언어로 기도를 바친다.4. 2. 역대 교황들의 방문
1925년 베르나데트가 시복되었고, 1933년 12월 8일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2004년 8월 15일 성모 승천 대축일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루르드를 방문했을 때, 전 프랑스 대통령 자크 시라크와 그의 부인 베르나데트 시라크가 교황을 맞이했다. 당시 30만 명의 순례자가 루르드를 찾은 것으로 추정되며, 2012년 10월에는 시복된 요한 바오로 2세의 성혈이 담긴 작은 병이 루르드로 보내졌다.[17]
2007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루르드 성모 발현 150주년을 기념하여 순례를 권장했고,[18] 2008년에는 직접 루르드를 방문하여 성체 행렬 후 성체 감실을 들었다. 2013년 2월 11일 루르드 성모 기념일(세계 병자의 날)에 베네딕토 16세는 고령으로 인한 건강 악화를 이유로 교황직 사임을 발표했다.[19]
5. 한국과 루르드
파리 외방 전교회 선교사들을 통해 루르드 신앙이 한국에 소개되었다. 1879년(메이지 12년) 일본 히로사키시의 신야 유조 소년은 마랭 신부에게 루르드 기적 이야기를 듣고 세례를 받은 후,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하여 병이 낫는 기적을 체험하고 사제가 되었다.[16]
5. 1. 한국 내 루르드 동굴
1899년(메이지 32년), 나가사키현(長崎県) 미나미마츠우라군(南松浦郡) 타마노우라정(玉之浦町)(현 고토시(五島市))의 이모치우라(井持浦) 교회 부지 내에 신자들이 직접 가져온 돌을 쌓아 올려 일본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루르드 동굴이 만들어졌다.[16] 이후 마키시밀리아노 콜베 신부와 인연이 있는 나가사키의 혼고우치(本河内) 교회를 시작으로 일본 전국의 가톨릭 교회에 루르드 동굴이 활발하게 만들어졌다.이후 한국의 여러 가톨릭 교회에도 루르드 동굴이 만들어졌다.
5. 2. 한국 가톨릭과 루르드
한국 가톨릭 교회는 루르드의 성모 발현을 중요한 사건으로 여기고 있으며, 루르드는 한국 천주교 신자들에게 중요한 성지 중 하나이다. 많은 한국 신자들이 프랑스 루르드를 방문하여 성 베르나데트가 체험한 성모 발현과 그곳에서 발견된 샘물의 기적을 통해 성모 마리아에게 전구를 청하고 있다.일본의 경우, 파리 외방 전교회 선교사들을 통해 루르드 신심이 소개되었다. 1879년에는 히로사키시에 사는 신야 유조 소년이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하여 병이 낫는 기적이 일어났고, 그는 후에 사제가 되었다. 1899년에는 나가사키현 고토시에 일본 최대 규모의 루르드 동굴이 만들어졌다.
이를 시작으로 일본 전역의 가톨릭 교회에 루르드 동굴이 만들어졌다. 1911년에는 나고야시에 마사비엘 동굴과 똑같은 루르드 동굴이 건설되어 성대한 축성식이 거행되었다.[16]
참조
[1]
웹사이트
Virgilio Tojetti - Adoration of the Virgin Mary in the Grotto at Massabielle near Lourdes - Dorotheum
https://www.dorotheu[...]
2022-07-12
[2]
웹사이트
The Apparitions
https://www.abdioces[...]
[3]
웹사이트
Marian Apparition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Dayton
[4]
웹사이트
The Apparitions in 1858
http://en.lourdes-fr[...]
[5]
웹사이트
St. Bernadette
http://www.ewtn.com/[...]
[6]
서적
My First Book of Saints
Sons of Holy Mary Immaculate - Quality Catholic Publications
[7]
웹사이트
Catholic Online: Apparitions of Our Lady of Lourdes, Sixth Apparition
https://web.archive.[...]
Catholic.org
2010-08-16
[8]
웹사이트
The fortnight
http://www.catholicp[...]
Catholic Pilgrims
2010-08-16
[9]
웹사이트
The encounters with the Blessed Virgin Mary
http://www.lourdes-f[...]
Lourdes France
2010-08-16
[10]
문서
Monsieur le Curé refers to Father Peyramale
[11]
웹사이트
A Cave of Candles: The Story behind the Notre Dame Grotto
http://www.nd.edu/~w[...]
University of Notre Dame
2006-09-24
[12]
웹사이트
I am the Immaculate Conception
http://www.catholicp[...]
Catholic Pilgrims
2010-08-16
[13]
웹사이트
Lourdes 4
http://www.nd.edu/~w[...]
Nd.edu
2010-08-16
[14]
웹사이트
Church recalls Our Lady of Lourdes apparitions on Feb. 11
https://www.catholic[...]
[15]
서적
The New Roman Missal
Benziger Brothers, Inc.
[16]
웹사이트
学校法人「聖母女学院」沿革
http://www.seibo.ed.[...]
[17]
뉴스
Une relique de Jean-Paul II à Lourdes
La Croix
2012-10-19
[18]
뉴스
バチカン放送局
2007-12-05
[19]
웹사이트
Pope Benedict XVI announces his resignation at end of month
http://en.radiovatic[...]
[20]
뉴스
[루르드 성모발현 150주년 희년] ②‘회개하라, 회개하라, 회개하라’
http://www.catholict[...]
가톨릭신문
2008-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